무상급식이 6.2지자체 핵심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경기도는 올해부터 도교육청이 지원해 도내 농촌 지역 초등학교에 무상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여주군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와 이포초등학교 현장을 찾아 친환경 무상급식을 지원하는 사람들, 그리고 친환경 무상급식을 먹는 학생들을 만나봤다. <편집자주>

경기도 여주군 이포초등학교 식당. 점심시간이 되자 급식을 먹으러 나온 90여 명 아이들로 시끌벅적하다. 이곳 학교는 올해 초부터 친환경 무상급식이 실시되고 있다. 대신초등학교에서 친환경 쌀을 비롯한 친환경 농산물 식자재를 받아 조리해 이포초등학교 학생들에게도 공급한다.

4월9일 급식 메뉴는 무농약으로 재배한 친환경쌀로 지은 밥에 스파게티, 마늘빵, 버섯야채조림, 배추된장국, 김치.

급식을 먹고 난 이포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 8명을 교실에 불러 모았다. 아이들에게 물으니 절반이나 되는 4명이 아토피나 알레르기 등 피부질환을 앓고 있었다.

친환경 무상급식이 실시된 지 불과 한 달 조금 넘어 아이들이 직접적으로 느끼기는 무리이겠지만 혹시나 하고 던진 질문에 아이들은 “좀 나은 것 같아요”, “가려운게 덜해요”라고 답한다. 서울 잠실에 살다가 온가족이 함께 이사 왔다는 예지(13세)도 아토피 증상이 한결 덜해졌다며 활짝 웃는다.

이어 “으~ 시금치 좀 안 나오면 좋겠어”, “콩밥이 너무 싫어요!”, “오늘 김치는 별로였어요, 김치 맛이 매일 달라”, “난 해파리랑 양배추는 진짜~” 찌푸린 얼굴로 각자 먹기 싫은 반찬을 토로하는 아이들.

급식2.JPG 
여주군 이포초등학교 학생들은 친환경 무상급식으로 점심을 먹는다. 왼쪽부터 이포초등학교 6학년 이선아, 최하은, 김민지, 김동이 담임선생임, 배현정, 노재인, 박준선, 김민아, 이예지 학생. 사진=노동과세계

6학년 담임 김동이 선생님은 “먹는 것만큼은 평등을 실현한다는 교육적 의미와 지역농산물을 학교에 공급해 농민들이 농업을 통해 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무상급식의 의미를 설명했다.

 

소득양극화, 부모 맞벌이 등으로 인해 제도권 교육 속에서도 늘 불평등한 교육환경에 놓인 아이들이 급식에서만큼은 완벽한 평등을 누린다는 얘기다. 또 기후조건이나 농산물값의 변동 때문에 복권과도 같은 농업구조에 시달리는 농민들에게 확실하고 안전한 판로를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 지역의 친환경 농업이 확산되는 효과까지.

2010년 4월 현재 경기도 여주군에서는 8개 학교가 친환경 학교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학교급식지원센터가 큰 역할을 담당한다.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에서부터 가공․유통․소비에 이르기까지 전체 경로를 총괄하고 있다. 급식정책을 합의하는 과정에도 참여하는 한편 올바른 식문화 교육과 홍보까지 도맡고 있다.

여주군친환경급식센터는 그동안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여주군 전체 학교에 친환경 쌀을 공급하고 있다. 또 일부 조리학교에 친환경 식자재도 공급한다.

그 결과 올해부터 여주군 관내 28개 초등학교 8천여 명 학생들이 센터가 공급하는 친환경쌀을 무상으로 먹고 있다. 일반쌀 대신 친환경쌀을 구입하는 데 들어가는 추가비용은 여주군이 지원한다.

과거 학교급식이 유통과정에서 남은 재고와 저가 농산물이 공급되던 곳이었음을 상기한다면, 괄목할 만한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이제 친환경무상급식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급식1.jpg 
친환경 무상급식을 실시하는 여주군 대신초등학교 배식 장면. 사진=여주군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여주군농민조합법인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이정우 사무국장은 그래도 아직 과제가 많다고 지적한다.

 

“무상급식이라고 해서 질이 떨어지는 무상이 아니라 식자재 등을 친환경으로 바꿔 질과 재원을 함께 지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친환경 쌀과 친환경 농산물 말고도 다른 식자재가 들어가니까요.”

된장을 예를 들어도 정상가격 10만원에서부터 9천원까지 가격대가 천차만별이라는 것. 9천원짜리 된장을 만드는 과정과 생산원가를 감안할 때 식품안전을 기대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여주군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박원준 정책국장은 진정한 친환경 무상급식이 안착되고 확산되려면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의식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한다.

“서울은 위탁급식이 상당부분 차지하는데 리베이트도 존재하고 기존 관계를 못 끊어 문제라고 하더군요. 당연히 학부모들이 문제를 제기해야 하는데 운영위원회가 지역유지 같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니 실제 아이들 먹거리와 교육에 관심 있는 부모들이 참여 못해요. 학교 운영위가 활성화되면 우리가 꿈꾸는 것이 실현되지 않을까요?” 박국장은 올바른 식문화 정착을 위한 교육을 준비하고 있다.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경기도교육위원회와 도의회에 무상급식 예산을 성안해 올렸지만 수 차례 부결됐다. 경기도 농산어촌 읍면에 거주하는 초등학교들은 거의 무상급식을 먹게 됐지만 도시지역은 여당 의원들 반대에 계속 좌초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노동과세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