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운임 개악저지! 일몰제폐지! 차종·품목확대!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11월 24일 0시를 기해 전면 총파업에 돌입한다. 본부는 11월 14일 공공운수노조 2층 모아홀에서 안전운임 개악저지! 일몰제폐지! 차종·품목확대! 화물연대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화물연대는 지난 6월 7일 총파업에 돌입하여 8일간의 총파업을 진행, 6월 14일 안전운임제를 지속 추진하고 품목확대 등의 논의를 이어가기로 국토부와 합의 후 총파업을 유보했다. 또한 국회는 여야 모두 안전운임제 개정안을 최우선적으로 다루겠다는 약속을 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 최인호의원실 대표발의로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 개정안이 입법발의 됐다. 그러나 시급한 민생현안 처리를 위해 여야 합의로 구성한 국회 민생경제안정특위(이하 민생특위)는 안전운임제 법안처리에 있어 아무런 진전 없이 시간만 지체시킨 채 종료됐다.

화물연대본부 김태영 수석부위원장은 “국회 민생특위에서 보인 국토부의 모습은 지난 6.14 합의서를 완전히 휴지조각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이었다. 시장경제 원리를 운운하며 안전운임제의 도입 취지까지 부정했다. 2월에 자기가 직접 국회에 보고했던 안전운임제의 긍정적인 효과를 깡그리 무시했고, 화주 자본의 논리를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그대로 따라 읽었다. 지난 총파업 때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우리 총파업이 국민경제를 볼모로 삼는 행동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말로 국민경제를 볼모로 삼는 건, 수십 년 동안 화물노동자를 희생양 삼아 물류산업 성장을 이룩해 온 화주와 운수자본이고, 그들과 한편이 되어 안전운임제를 구석에 내몰릴 때까지 협박하는 정치세력”이라고 분노했다.

또 “고환율, 고물가, 고금리의 고통스러운 경제위기 속에서 우리는 더 이상 물러날 곳도 없다. 국회는 지체하지 말고 즉각, 후퇴 없는 안전운임제를 통과시켜야 한다. 화물노동자가 인간답게 살고, 시민들이 안전한 도로를 누리는 그 날까지 화물연대는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결의를 밝혔다.

 

 

공공운수노조 현정희 위원장은 “물류를 책임지는 화물노동자들의 생존권과 도로안전은 곧 우리 사회의 안전이다. 공공운수노조는 사회 안전을 지키는 화물연대 파업을 지지하고 함께한다. 11월 23일부터 12월 2일까지 대안민국 안전을 지키고 공공성 높이기 위해 10만 5천명이 총파업에 돌입하고, 25만 조합원이 총력투쟁에 함께한다. 25만 조합원이 전국에서 시민들이 화물연대파업에 지지하고 연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화물연대본부 16개 지역본부장들이 함께 안전운임제 개악저지와 일몰제 폐지, 차종·품목 확대를 위한 총파업 결의를 밝히고, 지역별 전략 거점 및 품목과 이에 따른 투쟁 전략을 밝혔다. 강원은 시멘트를, 경남은 조선 기자재, 광주는 일반화물, 특히 농산물 부문을 멈추며, 대구경북은 구미산단, 대전은 자동자 부품산업을, 부산에서는 부산항의 수출입 컨테이너를 봉쇄하여 품목확대를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서울경기지역에서는 평택항과 의왕내륙 컨테이너 터미널을 봉쇄하며, 위수탁은 부산항만과 신항의 차를 세울 것을 선포했고, 포항은 철강을 봉쇄할 뜻을 밝혔다. 충북의 BCT와 시멘트, 충남은 컨테이너, 시멘트, 철강, 자동차, 위험물을 세우며, 제주는 농산물, 전북은 군산항, 전남에서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3개 화학단지를 봉쇄할 예정이다.

 

 

화물연대본부 이봉주 위원장은 “화물연대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벼랑 끝에 서 있다. 살아남기 위해, 생사를 걸었다. 두 달 뒤 안전운임제가 일몰되면 화물노동자들은 또다시 목숨을 담보로 도로 위를 달려야 한다. 화물연대는 지난 22일 피를 토하는 각오로 전 조합원 비상 총회를 소집했고, 전 조합원의 강력한 총파업 투쟁 결의를 한 데 모았다. 이번 총파업은 유례없이 강력한 총파업이 될 것이며, 일시에 모든 산업이 멈추는 총파업이 될 것이다. 화물노동자의 피와 땀을 연료 삼아 움직였던 대한민국의 물류는 한날 한시에 모두 멈출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리고 총파업 투쟁지침 7호를 발동했다.

화물연대의 이번 파업은 요구안이 수용될 때까지 무기한으로 진행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노동과세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