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조직된 민중의 결집을 통해 실력있는 다수로 거듭나야!

요즘 2007년 대선 논의가 뜨겁다. 민주노동당은 2월 10일 중앙위원회와 2월 25일 정기대의원대회를 거쳐 대선후보 선출시기 및 방법, 의제 등을 결정할 계획으로 19일부터 대선방침 및 제도개선안 마련을 위한 전국순회토론회에 들어 갔다. 민주노총 정치위원회에서도 정치위-노동위 합동수련회에 이어 1월 23일 민주노동당 노동위, 전농 정치위와 함께 ‘대선승리를 위한 공동토론회’를 통해 100만 민중참여경선제 도입를 주장했다. 한국진보연대(준) 또한 24일 2007년 정세토론회를 가졌다.

그동안 민주노동당은 거대한 소수전략을 통해 대안세력으로, 집권당으로 거듭날 것을 주장해 왔다. 그러나 지난 4,15 총선을 통해 제도권에 진입한 이후 10.26 보궐선거에서의 패배, 5.31 지방선거에서 정체 등 위기의 조짐이다. 거대한 소수전략에 담긴 당원들의 열망과는 상관없이 대중투쟁보다는 의회주의에 치우침으로 해서 현실에서 별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그냥 소수였던 것이다. 거대한 제도권 정치에 바늘 구멍 하나 뚫었지만 9명의 의원들이 민중의 지렛대가 되지 못해, 구멍 확장은 커녕 290명의 현실정치 벽안에 갇혀버렸다. 진짜 거대한 소수는 대중의 폭발적 역동성에 기반하거나 국가권력과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그 힘을 기초해야만 자신의 이데올로기, 삶의 원리를 일반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민주노동당과 9명의 전사들은 대중운동, 투쟁을 통한 이슈화에 주목하지 못했다.

민주노동당 변화가 필요하다. 변화의 출발점은 먼저 노동자, 농민을 대표하는 민주노총과 전농의 배타적 지지 방침을 자신의 무기화여야 한다. 80만 민주노총 조합원과 농민들을 자신의 확고한 고정지지기반으로 구축하는 데서 한미FTA협상저지 투쟁, 비정규확산 저지투쟁 등 대중투쟁에 당이 앞장서고 연대해야 한다는 것은 더 강조할 필요없다. 민주노총에 대한 교육연수 등 전폭적 지원도 마찬가지다. 중요한 전제는 당과 당원들의 (민주노총에 대한) 굳건한 믿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얼마 전까지 배타적 지지 방침을 가진 민주노총, 전농 등과 부문할당제고등을 놓고 당내에서 불필요한 갈등을 벌여 왔다. 간혹 터져 나오는 민주노총 비리사건에 대해 냉소적 반응을 보여 왔다. 그러나 민주노조 20년, 민주노총 10년의 역사는 이제 비정규직과 함께하는 산별시대와 임원, 대의원 조합원 직선제 실현을 눈 앞에 두고 있다. 민주집중제의 원리를 더 깊이 구현하고 80만 조합원의 힘으로 민주노총를 혁신, 강화시키는데 복무할 것이다. 노동자들은 노동을 통해 자신과 세계, 한국사회를 변혁해 왔다. 또한 앞으로도 자체 대오정비를 통해 한국사회를 변혁하고 진보정치의 역사를 새로 작성하는 주역이 될 것이다. 그것이 역사적 사명이고 노동자 삶 자체인 것이다.
다음으로 민중들과 함께 새로운 진보정치역사와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민주노동당은 당비로 운영하고 당원 직선으로 당대표 및 국회의원 등을 선출하는 진성당원제도를 통해 이 땅의 진정한 정당정치, 진보정치를 만들어 왔다. 하지만 당권을 둘러 싼 각 의견그룹내의 상호 경쟁, 조직운영의 혼란으로 고정지지기반도 약하고 선거때 나타나듯이 당원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다는 자체 평가다. 이제까지 만들어 온 진보정치 문화를 더 발전시켜야 할 때이다. 그러려면 당안에서의 기득권을 초월해 대중지도력을 형성하고 진보적 의제를 더 확산시키는 실험이 요구된다. 21세기 사회주의를 선언한 베네주엘라 우고 차베스 대통령은 “가난을 끝장내는 유일한 방법은 빈민들에게 권력을 주는 것”이라 했다. 그는 자신의 말을 지켰다.

기층민중을 믿고 민중에 기반하여 변화와 새 실험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 버리자! 노동자, 농민의 진보정치참여, 100만 민중참여경선제를 과감히 도입해 <거대한 소수>가 아닌 조직된 민중의 결집, 대중지도력 형성 계기로 삼아 <실력있는 다수>로 거듭남이 어떤가!

허현무기자 kctu24@nodong.org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노동과세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