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김없이 찾아온 1525번째 수요일···오늘도 외친다 “일본 정부는 책임지고 사과하라”
양경수, “수요시위는 인권과 존엄을 가르쳐준 학교, 포기없이 끝까지 함께갈 것”
갈수록 도 넘는 집회 방해세력··· 정의연, "'정부당국, 피해자 인권 보호 적극 나서야"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5일 정오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열었다. 수요시위를 마친 참가자들이 평화로에서 외교부까지 행진을 하며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과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 송승현 기자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5일 정오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열었다. 수요시위를 마친 참가자들이 평화로에서 외교부까지 행진을 하며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과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 송승현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일본 정부를 향해 진심어린 사죄와 인정을 요구하기를 매주 수요일마다 모여 외친 지 꼭 30년을 맞았다. 

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 ‘수요시위 30주년-다시,처음처럼’이 5일 정오 서울 종로구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진행됐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주최·주관했다.

수요시위(수요집회)는 30년 전인 1992년 1월 8일 수요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후 정의연으로 통합)가 미야자와 당시 일본 수상 방한을 계기로 일본 정부에 항의하기 위해 모인 것을 계기로 시작됐다. 협의회는 1991년 8월 14일 최초 일본군 ‘위안부’를 공개증언한 김학순 활동가의 외침에도 사실 부정과 책임회피에만 급급하던 일본정부를 향해 역사를 직시할 것을 요구했다. 수요일 정오 일본대사관 앞에서 같은 외침을 이어가고 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5일 정오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열었다. 참석자들이 집회 장소에 마련된 수요시위 30년 역사 사진전을 바라보고 있다. ⓒ 송승현 기자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5일 정오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열었다. 참석자들이 집회 장소에 마련된 수요시위 30년 역사 사진전을 바라보고 있다. ⓒ 송승현 기자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5일 정오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열었다. 수요시위 한 참가자가 화면 영상을 보다 눈물을 흘리고 있다. ⓒ 송승현 기자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5일 정오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열었다. 수요시위 한 참가자가 화면 영상을 보다 눈물을 흘리고 있다. ⓒ 송승현 기자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성명서를 통해 “수요시위가 30주년을 맞았다. 기막힌 세월, 경이로운 여정, 믿기지 않는 시간이다”라며 “30년 세월동안 무시와 좌절은 걱정과 용기로 바뀌고, 치욕과 아픔은 연대와 사랑의 힘으로 치유됐으며, 의혹과 시련의 순간들은 희망과 평화의 시간으로 승화됐다”고 한 뒤 “이름조차 없었던 희생자와 피해자들의 외침은 큰 울림과 파장이 돼 지구촌을 뒤흔들었다. 식민주의, 제국주의, 인종차별주의, 군국주의, 패권주의 그리고 남성중심주의에 저항하며 피해생존자들이 일구어 온 여정은 경이로웠다”고 전했다.

여기에 “그래서 더 기가 막힌다. 30년 세월 동안 일본 정부는 사죄와 반성은 커녕 역사를 지우고 피해자들을 모욕하고 있다. 국내외로 확장된 역사부정세력들은 희망과 평화의 장을 좌절과 갈등으로 얼룩지게 하고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우리는 믿는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가 해결되는 그 날, 수요시위의 오랜 문이 비로소 닫히고, 역사의 장에 깊이 새겨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들 참가자는 ▲일본정부는 정의와 진실에 입각해 과거사를 청산할 것 ▲일본정부는 재발방지 약속을 통해 일본군 성노예제문제를 정의롭게 해결할 것 ▲한국정부는 진상규명, 피해자 명예와 인권 보호에 스스로 나설 것 ▲한일 양국 정부는 분쟁과 전쟁, 차별과 폭력으로 고통받는 아시아 여성들의 인권과 생명을 보호하는 일에 적극 나설 것 ▲반민주·반평화·반인권·반민족 역사부정세력은 반성하고 피해자들과 수요시위 참가자들에게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5일 정오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열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연대발언하고 있다. ⓒ 송승현 기자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5일 정오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열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연대발언하고 있다. ⓒ 송승현 기자

이어진 연대발언에서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30년은 흔히 한 세대를 규정짓는 시간이라고 한다. 사람이 태어나서 성장하고 가정을 이루어 새로운 세대를 잉태하는 시간이 30년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자리에서 30년을, 어쩌면 70년이 넘도록 멈춰선 역사를 목도하게 된다”이라고 운을 뗀 뒤 “일본군 성노예 문제는 명백한 범죄이며, 피해자가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것은 상식이고, 가해자 스스로에게 상식과 순리를 요구하는 것은 순리다. 이 상식과 순리를 30년간 바로잡지 않는 것은 또 다른 범죄”라고 잘라 말했다.

덧붙여 “이 수요시위 자리에 수많은 정치인들이 다녀갔다. 현직 대통령도 이 자리에서 문제해결을 외쳤다. 그러나 결국 권한을 갖는 순간 피해자들을 외면하며, 이 자리마저 유린하고 있는 사실이 분노스럽다”고 한 뒤 “수요시위는 우리에게 인권과 연대, 존엄을 가르치는 학교였다. 소녀상 건립은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으로 이어졌고, 역사를 바로세우기 위한 투쟁으로 발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주노총은 한결같이 목소리를 낸 이들과 설령 30년이 더 걸릴지라도 포기하지 않겠다는 약속과 다짐을 하겠다. 꿋꿋하게 자리를 지켜주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분들과, 먼저 가셔서도 우리를 지켜볼 피해자분들에게 사랑과 존경의 마음을 담아 약속하겠다”고 전했다.

원계순 한국교회여성연합회 회장은 “가부장제라는 억압속에서도, 수치스러운 여자라는 비난을 딛고 용감하게 나섰던 할머니들의 공개적인 증언이 없었다면 오늘과 같은 일은 힘들었을 것”이라며 “피해자에 대한 정의실현을 요구한 이들의 외침은, 2017년 국내 미투운동으로 되살아났고 할머니들은 역사의 투사가됐다. 성노예를 비롯한 성범죄를 해결하는데 구심점이 된 것이다. 아픈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나서자”고 결의했다.

박은수 한국여성단체연합 활동가는 “오늘은 수요시위의 30주년을 기념하는 날이자, 진실을 기록하는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임을 확인하는 자리다. 긴 시간동안 수많은 시민들이 같은 시간 같은 자리에서 한 목소리를 낸 것이 경이로우면서도, 한편으론 그 시간동안 우리의 문제를 외면하고 지금도 역사를 왜곡하고 있는 일본 정치권이 분노스럽다”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사죄와 보상은 인류역사에서 자행돼 온 전시 성폭력에 대한 성찰이자, 다시는 반복돼선 안된다는 다짐이어야 한다. 일본정부는 물론이고, 한국정부도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라”고 촉구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5일 정오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열었다. 뮤지컬 배우 이정렬, 전희은 씨가 애국가, 감방의 노래 공연으로 수요시위에 연대의 마음을 보탰다. ⓒ 송승현 기자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5일 정오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1525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를 열었다. 뮤지컬 배우 이정렬, 전희은 씨가 애국가, 감방의 노래 공연으로 수요시위에 연대의 마음을 보탰다. ⓒ 송승현 기자

이날 무대는 율동과 노래로 연대하는 문화활동가들의 공연으로도 채워졌다. 참가자들은 집회를 마친 후 일본대사관~광화문~외교부까지 행진하며 일본정부의 인정과 사과를 외쳤다. 집회 참가자들은 중간중간 ‘바위처럼’을 부르며 끝까지 함께할 것을 약속했다.

한편, 같은시각 일본군 ‘위안부’ 피해당사자를 비롯한 연대자들에게 반대하는 수구보수세력들의 집회도 진행됐다. 이들 세력은 대규모 음향장비와 촬영장비를 동원해, 수요시위 참가자들을 공격하거나 수요시위 내 진입을 시도하며 행사를 방해하고 있다. 또한 위안부 피해당사자에 향해 혐오적이고 모욕적인 발언을 계속하는 등, 수요시위를 훼방하는 수준이 날이 갈수록 점점 심각해지는 실정이다.

정의연 측이 한국 정부가 적극 나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를 지키라고 요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노동과세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