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과 혐오 없는 보도 위해 협약식 체결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여성위원회가 17일 오전 11시 차별과 혐오 없는 평등한 경기지역 언론을 만들기 위해 제18회 기자의 날을 맞이해 경기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2023년 경기인권보도 협약식’을 개최했다.

평등한 경기도만들기 경기도민행동, 인천경기기자협회와 함께 한 이날 협약식에는 고지은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여성위원장, 안은정 다산인권센터 활동가, 이호준 인천경기기자협회장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경기인권보도 협약은 언론은 진실을 밝히고 사회를 바라보는 창의 역할을 하기에 인권을 기반으로 한 접근과 보도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특히, 경기도에 1300만의 인구가 살고 있고 많은 인구 수만큼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있으므로 모든 시민들의 인권을 보장하는 평등하고 인권적인 보도방향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언론보도가 또 다른 혐오와 차별의 장이 될 수도 있는 만큼, 일상적 보도과정에서 차별과 혐오를 조장하는 표현이 쓰이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협약식에서는 참가자들이 협약서 낭독을 진행했다. 인권 보도 협약서에는 특정 집단 및 계층에 편향된 보도 금지할 것, 노사 관계 보도는 노사 양측의 입장을 충분히 들은 뒤 보도와 노사 관계가 악화된다면 그 구조적 요인까지 파헤쳐 보도할 것,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강화 표현 금지할 것 등 총 15개의 선언문이 담겼다.

아래는 2023년 경기인권보도 협약서 전문이다.

■ 전 문 

언론은 모든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위해 인류 보편적 가치인 인권의 증진을 목표로 삼는다. 언론은 민주적 공동체 구현과 사회 구성원의 기본권의 신장과 모든 사람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힘쓰며 인권 사각지대의 인권 현안을 적극 발굴하여 우리 사회의 인권신장에 앞장선다. 언론은 사회적 약자나 소수자들의 인권 보장을 위해 그들이 차별과 소외를 받지 않도록 감시하고 제도적 권리 보장을 촉구한다. 경기도는 국적, 인종, 언어 등이 다른 약 1390만 여명의 다양한 도민들이 함께 어울려 사는 곳이다. 많은 도민들이 지역언론을 보고 있는 만큼 언론은 일상적 보도과정에서 인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아울러 언론의 기사가 또 다른 혐오와 차별의 장이 되지 않도록 노력한다. 지역언론은 인권의 증진이 기본적 책임이 있음을 깊이 인식하여 도민의 인권의식 향상과 인권존중문화 확산에 기여한다. 이에 따라 인천경기기자협회와 차별과 혐오없는 평등한 경기도 만들기 도민행동은 지역사회 구성원 누구도 배제되지 않고 평등사회구현을 위해 힘쓰는 지역언론이 되길 바라며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경기도는 다양한 정체성의 도민들이 함께 살아가는 곳입니다. 성별, 장애, 종교, 나이, 출신 지역, 인종, 성적지향, 학력, 병력 등을 이유로 특정 집단이나 계층에 편향된 차별적인 보도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경기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외국인과 이주민의 거주인구가 많습니다. 출신국가, 민족, 인종, 피부색, 체류자격, 국적 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의 인권을 존중하고 증진하도록 힘씁니다. 
3. 성별과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4. 장애는 질병이 아닙니다. 장애인은 동정과 시혜의 대상이 아닌 비장애인과 동등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하는 시민입니다. 장애인을 비하하고,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입니다.
5. 아동·청소년을 어른과 동등한 인격체로 인식하는 자세를 갖습니다. 아동, 청소년의 권리를 존중하며 하대하는 용어를 쓰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6. 노인을 의존적 존재로 비춰지게 하는 표현을 지양하고 연령을 이유로 사회생활에서 차별받지 않도록 보도해야 합니다.
7. 경기도에는 다양한 종교를 가진 도민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특정 종교를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종교의 자유, 신념을 존중하는 표현을 사용해야 합니다. 
8. 노사 관계 보도는 노사 양측의 입장을 충분히 들은 뒤 보도합니다. 노사 관계가 악화된다면 그 구조적 요인까지 파헤쳐 드러내는 노력을 기울입니다.
9. 성소수자를 비하하는 표현이나 진실을 왜곡하는 내용 잘못된 개념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성소수자를 특정 질환이나 사회병리 현상과 연결 짓지 않습니다.
10. 언론은 한반도 평화를 지향합니다. 북한 포함 특정 국가를 위협적인 존재로 만들어 사회적 공포를 조성하거나 특정 국가를 혐오, 차별하는 기사는 지양해야 합니다. 
11. 빈곤을 개인 책임이 아닌 구조적 요인으로 취재, 보도합니다. 각 소득 계층 간 위화감을 주는 표현을 자제합니다. 빈부격차를 정당화하기보다 극복 가능한 사회적 의제로 접근합니다.
12. 사회필수시설(장애인 시설 및 특수학교, 소각장, 화장장 등)을 혐오시설로 보이게 하거나 지역이기주의로 부각하는 등 부정적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표현은 지양해야 합니다.
13. 범죄사건을 보도할 때 자극적인 보도를 지양하고 피해자의 2차 피해와 모방 범죄를 막기 위해 범행을 자세히 묘사하지 않습니다.
14. 취재과정에서 인격권 침해와 개인 정보 유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고 선정적인 사진이나 내용은 보도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15. 재난 보도는 사회적 혼란이나 불안을 야기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며, 재난 수습에 지장을 주거나 피해자의 명예나 사생활 등 개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재난과 질병 등 사건이 발생할 때 혐오표현은 더 자주 등장합니다. 불행의 원인을 다른 집단에게 돌려 희생양으로 비춰지게 보이는 표현은 지양해야 합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노동과세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