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 군공항 토건사업 공언”
-정의로운 산업전환, 시혜가 아니라 권리로서 요구한다!
-핵오염수 해양투기 중단을 위한 대구시민행동 11/2 결성

“기후위기, 기후재난은 가정에서 개인이 하는 노력만으로는 절대 해결할 수 없습니다. 게다가 기후위기에 책임이 있는 집단과, 피해를 입는 집단이 너무 다릅니다. 가장 부유한 상위 10%가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반면 그 피해는 저소득 국가에서, 저소득층이 훨씬 많이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후정의를 외칠 수밖에 없습니다” (정유진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이 27일, 중앙로역 인근에서 '오픈마이크' 공동행동을 벌였다.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이 27일, 중앙로역 인근에서 '오픈마이크' 공동행동을 벌였다.

민주노총을 비롯한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비상행동)이 27일, 마이크를 잡았다. 길을 걷던 시민도 피켓을 함께 들었다. 기후위기를 가속화하는 홍준표 난개발과, 핵오염수 투기를 방조한 윤석열에 대한 규탄이 쏟아졌다. 4/14 기후정의파업, 9/20 대구기후정의행동, 9.23 전국기후정의행진 등에 이은 공동행동이다. 11/24(금)에도 중앙로역 2번출구에서 진행된다.

비상행동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6억 5천만 톤 가운데, 가정의 배출량은 5%에 지나지 않는다. 세계적인 사례처럼 대부분의 온실가스가 발전·산업 분야에서 나온다는 비판이다. 이윤을 위해 더 많이 생산하고, 더 많이 소비하도록 부추기는 자본 탓에 유일한 삶터인 지구가 망가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이 가운데 홍준표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을 40% 감축하겠다는 대구시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기후위기를 가속화하는 정책만 펴고 있다. 11월부터 대중교통전용지구를 해제하며 자가용 이용에 힘을 실어주는 한편, K2 군공항 후적지에 토건사업을 벌이겠다 공언한 상태다. 매년 80만톤 도심에 내뿜는 염색산단 도심 석탄발전소도 36년째 멈추지 않고 가동 중이다.

이에 대해 김은영 대구녹색소비자연대 사무국장은 “대중교통을 줄이고 자가용을 늘리려는 것은 기후위기를 부추김과 동시에 교통약자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할 권리를 앗아가는 것이다. 심지어 이 정책을 도입할 때 한차례라도 시민들에게 물어본 적이 없다. 20년이 넘도록 영향을 끼칠 정책을 일방 결정하는 것이 민주주의 사회라고 할 수 있냐”고 꼬집었다.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이 27일, 중앙로역 인근에서 '오픈마이크' 공동행동을 벌였다.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이 27일, 중앙로역 인근에서 '오픈마이크' 공동행동을 벌였다.

기후위기는 특히 노동자에게 가장 먼저 위협이 되는데, 실제 지난 6월엔 코스트코 하남점에서 일하던 30대 노동자가 폭염 속에 쇼핑카트를 정리하다 쓰러져 숨진 경우도 있었다. 물류업체 쿠팡의 경우 폭염시기 40도가 넘어가는 물류센터 현장에 에어컨을 설치하지 않고 있다. 탄소배출로 떼돈을 벌어온 기업이, 전환을 핑계삼아 노동자를 해고하는 경우도 문제다.

장정희 녹색당 대구시당 사무처장은 “기후위기를 멈추라는 것은 최소한의 노동환경을 보장하라는 요구이기도 하다. 폭염 폭우에 취약한 주거시설에 사는 이들에게 안전한 주거시설을 마련해주라는 것이다. 우리는 시혜가 아니라 권리로서 요구한다. 기업과 자산가들은 책임을 져야하고, 노동자들은 전환과정에서 임금과 일자리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석열 정권의 핵오염수 해양투기 묵인, 동조에 대한 비판도 쏟아졌다. 김민조 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국민의 80% 이상이 오염수가 바다에 버려져서는 안된다며 정부에 강력한 대응을 요구했으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외려 위험하다고 말하는 사람에게 괴담유포자라는 낙인을 찍었다. 우리가 시민들의 목소리를 모아내고 함께 대응하고 싸워가자”고 했다.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이 27일, 중앙로역 인근에서 '오픈마이크' 공동행동을 벌였다.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이 27일, 중앙로역 인근에서 '오픈마이크' 공동행동을 벌였다.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소속 단체들은 ‘핵오염수 해양투기 중단을 위한 대구시민행동’에도 함께 할 예정인데, 11/2(목) 오후 3시, 결성회의를 앞두고 있다. 제안 단위는 2011년 후쿠시마 핵사고 이후 만들어진 ‘핵없는 세상을 위한 대구시민행동’으로 지속가능한 에너지로의 전환에 동의하는 개인과 단체가 연대해 10여년 간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한편 9.23 기후정의행진 참가자들은 ▲기후 재난으로 죽지않고 안전하게 살 권리 ▲핵발전과 화석연료로부터 공공재생에너지로의 정의로운 전환 실현 ▲철도민영화 중단과 공공교통 확충 ▲신공항건설, 국립공원 개발사업 중단 ▲대기업 등 부유층 오염자에게 책임을 묻고 당사자의 의견 반영 등을 정부에 요구한 바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노동과세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